태조와 세종의 이름에 붙은 '조'와 '종'의 의미는 무엇일까

조선시대 왕의 이름을 보면 이름의 끝이 대부분이 '조'로 끝나거나 혹은 '종'으로 끝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물론 군으로 끝나는 연산군과 광해군도 있기는 하지요. 그렇다면 '조' 또는 '종'으로 쓰이는 것은 어떠한 의미가 있고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세종'의 이름은 묘호라고 합니다. 묘호라는 것은 왕이 죽고난 뒤에 살았을때의 공을 기리기 위해서 붙어진 이름을 말하는 것입니다. 조선시대에 왕들은 죽고난 후에 일생에 대한 평가를 받게 되는데 묘호를 살펴보면 그 왕의 업적이나 나라를 어떻게 다스렸는지에 대한 내용을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우선 '조'는 창업 또는 왕조에 재건에 공을 세운 왕에게 붙습니다. '종'은 전왕에 업을 잘 계승을 한 덕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왕들에게 붙습니다. 일반적으로 나라를 세웠다고 하거나 큰 소란으로부터 백성을 구한일이 있는 왕은 묘호에 '조'가 붙습니다.


27명의 왕이 있는 조선에는 '조'가 붙어있는 왕들은 조선을 세운 이성계를 비롯해서 세조와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가 있습니다. 태조는 나라를 세운것이고 선조는 조일전쟁 시기에 위기 상황에서 나를 지켰다고 하여 '조'가 붙은 것입니다.


나라를 바로 잡기 위해서 왕위에 오른 인조의 경우도 있고 영조를 비롯해서 정조와 순조는 처음에 '종'을 쓰기는 했지만 왕실에 대한 업적을 높이는 결과로 인해서 '조'로 바뀌게 된것입니다.


그 외의 왕들은 마 '종'이 붙어있지만 연산, 광해는 왕위에서 쫓겨났다는 내용 때문에 묘호가 없게 된것입니다. 


사실 왕이 죽고 난뒤에 붙게되는 이름이기 때문에 그 업적에 대한 평가는 사람에 따라서 분분하게 나누어질수도 있습니다. 


▼ 공감 한번 눌러주고 가는 센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